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2025년 5월 2주차 부가부의 투자 일기, 미국과 중국 관세 협의 1.새로운 가족을 영입했습니다.총 70만 원가량을 달러로 전환해 주식을 매입했습니다. 구겐하임 펀드는 여전히 횡보 중이라, 큰 고민 없이 추가 매수를 진행했습니다. 현재도 매력적인 가격대인 14.5달러 수준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지난 5월 1주차에 359주를 보유 중이었는데, 이번에 33주를 추가 매수하여 총 67만 원가량을 투자했습니다. 그리고 SCHD도 처음으로 매수해보았습니다. 지금이 매력적인 가격이라는 건 확실하지만, 시드머니가 많지 않아 그간 매수를 망설이고 있었습니다. 정말 이성적으로만 판단한다면 구겐하임 펀드가 더 매력적인 가격이기에 그것만 추가 매수했겠지만, 주식 쇼핑의 재미를 느끼기 위해 한 번 구매해봤습니다. 늘 구겐하임 펀드만 사다 보니 약간 흥미가 떨어지던 찰나였거든요. 1주이지만.. 2025. 5. 12.
미국 주식에 모든 돈을 넣은 사람에게 추천할 종목 1. 부가부의 전재산은 미국주식에저는 원화를 거의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제 성격상 돈이 손에 있으면 써버리는 경향이 있어서, 일부러 달러를 매수한 뒤 환전하지 못하게 막아놓았습니다. 사실 주식이 단순히 재미있어서 미국 주식에 제 자산 대비 과감하게 투자한 것도 있습니다. 많은 투자 대가들이 '안전 마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경제 대폭락이 왔을 때 싸게 매수할 수 있는 여유자금을 말합니다. 그러나 저는 이런 안전 마진을 크게 고려하지 않고 투자 중입니다. 그래서 가끔은 "여기서 50% 더 떨어지면 어떻게 하지?"라는 불안이 들기도 합니다. 현재는 여유 자금도 없는 상태라 좋은 매수 타이밍을 놓치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근과 같은 거품이 낀 듯한 상승장에서 매달 들어오는 배당금을 어떻게 효율.. 2025. 5. 9.
2025년 5월 환율 급락, 환율에 대비한 정확한 매수 타이밍? 1. 환율 변동에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장기투자 관점에서, 지금과 같은 고환율 시대에는 오히려 고배당주가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장기투자자인 내가 배당금이 없는 개별 주식을 매수했다고 가정해봅시다. 만약 그 주식이 3년 뒤에 100% 상승했더라도, 환율이 20% 하락했다면 실제 수익은 80%밖에 되지 않습니다. 물론 80%도 큰 수익이지만, 전체 수익 중 20%를 환율 때문에 잃는다는 건 결코 작은 손실이 아닙니다. 게다가 환율이 내려간 상태에서 양도소득세까지 고려하면, 남는 이익은 더욱 적어집니다. 양도소득세가 연간 250만 원까지 면제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보다 유동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고배당주는 다릅니다. 배당소득세만 제하고, 연간 배당금이 2,000만 원을 넘지 않는 .. 2025. 5. 9.
2025년 5월 1주차, 부가부의 매수기록 포트폴리오 대조정 1. 포트폴리오 대조정적금 담보 대출을 받아 포트폴리오 대조정을 했습니다. 빼지 못하는 적금이 있어 현재 미국 주식에 시드를 더 넣지 못하는 상황이 아쉬웠고, 그래서 대출을 받을까 말까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처음엔 ‘지금보다 장이 더 안 좋아지면 그때 대출을 받자’고 생각했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니 그건 제 예측이자 바람일 뿐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너무 좋은 타점만 노리다가 오히려 괜찮은 매수 타이밍을 놓치고 있는 건 아닌가 싶어 마음이 조급했던 것도 사실입니다.고민 끝에 적금 담보 대출을 받고 시드를 늘려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했습니다. 성급한 선택일 수도 있지만, ‘할까 말까’ 고민하던 선택을 실행에 옮기니 마음이 한결 편해졌습니다. 엄청 이성적인 선택은 아니었지만, 나름 괜찮은 결정이라고 계속 생각.. 2025. 5. 5.
아버 리얼리 트러스트 (abr) 2025년 1분기 실적 공개와 함께 주가 하락 1. 분기 실적 하락 정말 악재일까?2025년 5월 2일, S&P500이 약 1% 상승할 때 ABR(Aberdeen Realty Trust)은 약 3% 이상 하락했습니다. ‘굳이 이렇게까지 내릴 이유가 있을까?’ 싶어 뉴스를 찾아보았고, 그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가 있었고, 매출이 전년 대비 27.2% 감소한 것이 주요 하락 요인이었습니다. 27%는 꽤 큰 수치라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다음 분기 실적이 나올 때까지 ABR의 주가가 10~12달러 선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물론 27%라는 수치는 커 보이고 악재는 맞습니다만, 그간 ABR의 성장세를 볼 때 충분히 회복 가능한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2. 결국은 금리다리츠주는 구조적으.. 2025. 5. 4.
상당히 매력적인 etf를 소개합니다. divo 1. divo 알 사람들은 이미 아는 etf.DIVO는 엄청 유명하지는 않지만, 알 사람은 아는 ETF라고 생각합니다. Amplify라는 자산운용사에서 2017년에 상장한 ETF입니다. 우량주 중 고배당주를 골라 포트폴리오에 넣었고,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기술주 중심의 주식도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SCHD와는 달리 콜 옵션 전략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수익을 얻으려 합니다. 시장 지수를 따라가기보다 자산운용사의 직접적인 개입이 있기 때문에 수익률 저하의 위험도 존재합니다. 현재(2025년 5월 초 기준) 시가배당률은 4.8%입니다. 포트폴리오는 아메리칸 엑스프레스, 마이크로소프트, 비자, 골드만삭스, 메타, 애플, 맥도날드 등 금융, 필수 소비재, 식료품,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산업군에 투자.. 2025. 5. 4.